본문 바로가기
여성 性 궁금증

생리중 섹스를 하면 좋은이유,생리중 성욕이 늘어나는 이유

by 여주인장 2015. 11. 15.
반응형

 

 
 

 

남성의 성욕과 여성의 성욕은 다르다.  여성은 생리중 성욕이 최대??  남성들의 성욕은 여성과의 합방을 통해서 방출해야만 성욕이 해소가 된다.  그럼 여성들은 어떨까?  대부분의 여성들의 경우 뜨거운 키스나 강력한 포옹만으로도 강렬한 오르가즘을 느끼며 성욕해소가 가능하다. 

 

 

 

 

 

 

 

 남성분들을 위한 여성이 성욕을 느낄때를 좀 더 정확히 안다면 여성과의 데이트를 잘 리드해 갈 수 있다.  남성이 여성의 미니스커트 사이로 보이는 각선미를 볼때, V넥 티셔츠 사이의 여성의 가슴골을 볼때 성욕을 느끼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성들 역시도 운동하는 티셔츠 속의 남자의 근육을 상상하며 성욕을 느낀다.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감정적이다보니 힘들고 지칠때 누군가와 함게 있고 싶다고 느낄 때 술을 가볍게 한 잔 한 후 DVD방이나 멀티방 등에서 영화를 보며 어두운 조명에 둘만 있게 된다면 여성호르몬분비가 많아지면서 남성에게 안기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   평균사정시간 늘리는법 및 조루자가테스트

 

 

 

 

 

앞서 말했듯이 여성의 경우 성욕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성적인 육체적 욕망보다는 감정에 더 충실하기 때문에 위와같은 상황이 생겼다고 해서 꼭 섹스까지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물론 중년여성이나 남자 경험이 많은 여성은 남성들과 마찬가지로 섹스까지 해야 성욕해소가 가능하다. 

 

 

 

 

 

사귀는사이 혹은 부부사이에서의 섹스는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섹스 후에는 임신가능성이 항상 따라다니기 때문에 부담스럽다.  그런데 생리전후에는 임신가능서이 낮을 뿐만아니라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체내에 급격히 증가하면서 여성의 성욕도 높아진다.

 

 

 

특히 여성의 생리 중에는 여성의 성욕이 최고치에 이른다.  또한 임신가능성이 제일 낮은 시기이기 때문에 생리 중에 성욕을 파트너에게 표출하고 섹스를 하고자 하는 여성들도 있다.   

 

 

 

 

 

물론 대부분의 여성은 성욕도 성욕이지만 섹스후 자신의 몸과 파트너의 몸에 피가 뭍는 것도 싫을 뿐더러 피가 뭍은 시트를 봐야하는 현실이 싫다.  또한 생리혈로 인한 냄새도 싫다.  생리 중의 섹스를 피하는 이유는 여성이나 남성이나 비위생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생리중에 섹스를 하면 좋은 이유

 

 

여성분들 생리중에 탐폰을 사용해 보신 적이 있나요?  탐폰을 바쁘다고 자주 갈아주지 않고 8시간이상 사용한다면 생리 중 섹스보다 더 위험하다. 생리 중에 섹스라고 해도 임신가능성이 낮은기간이지 임신이 안되는 기간이고 생리혈을 통해 남성은 요도염에 전염될 수 있으니 콘돔을 사용하자.

 

 

 

생리 중 섹스가 위생적이지 못하다면고 생각한다면 침실에서의 섹스를 포기하고 장소를 옮겨서 욕실에서 섹스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  생리혈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새로운 장소의 섹스로 인해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생리 중 섹스를 한 여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생리통이 완화되었을 뿐만아니라 규칙적인 생리주기에도 도움이된다.  이제 더 이상 생리기간동안 왕성한 성욕을 참지말자.  물론 남성이 생리할때 섹스를 피한다면 강요하지 않는 것이 서로에게 좋다.

 

 

 

 

 

 

생리 중에 섹스를 했는데 지난 생리때보다 생리혈이 많이 나온다고해서 당황하지 말자.  섹스를 통한 오르가즘으로 인해서 근육들이 수축을 했기때문에 생리혈이 더 잘 흘러나오는 것이지 더 많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생리기간은 지난번과 비슷하게 끝날테니 걱정하지 말자.  

 

 

 ☞  질건조증 하루 5분 치료가능

 

 

단 생리기간 중에는 질이나 자궁이 아주 예민한 상태이고 생리혈이 나오고 있는 만큼 콘돔을 사용하되 최대한 부드럽게 하는 것이 좋고  관계 후에는 여성이든 남성이든 최대한 잘 씼는 것 또한 중요하다.

 

 

 

 

반응형